어디에서나 바로가기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메뉴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1 키이고, 부메뉴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2 키이고, 본문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3 키입니다. 알트 키 플러스 J 키는 일반모드와 텍스트모드로 전환합니다.

현재위치
  1. HOME
  2. >장례정보
  3. > 장례정보

본문 영역

공수법

공수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수법(拱手法) 절하는 예절

절은 상대방에게 공경하는 뜻을 나타내 보이는 동작으로서 행동예절의 기본이다. 우리나라도 당연히 전통적으로 전래되는 절이 있으나 현재는 사람에 따라 절하는 모습이 각양각색으로 통일된 방법이 없어 아쉽기 그지없다.다행히 우리나라의 예학의 종장이라 추앙되는 사계 김장생(禮學宗長 沙溪 金長生)선생께서 1599년에 저술한 가례즙람(家禮楫覽)에 그림까지 곁들여 우리나라의 절의 원형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소개해 절의 통일을 기한다.


절에서 참고할 점

공수의 위치

평상시 공수(拱手)는 남자의 경우 왼손이 위로, 여자의 경우 오른손이 위로 가게 한다. 흉사(상례 등)일 때는 공수의 위치가 바뀌어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한다. 제사는 흉사가 아니고, 조상을 받드는 자손이 있어 길사로 본다. 따라서 제사, 차례, 세배 때의 공수의 위치는 평상시와 같다.


(남자와 여자의 평상시 공수 방법)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지만,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릴 때나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서는 절이 빠질 수 없다. 특히 명절에는 절을 하고 어른께 덕담도 들으면서 몸에서 우러나오는 예를 느끼게 된다. 때와 장소에 따라 절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평소에 잘 익혀 두면 갑자기 절을 하게 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절에 대해서 알아보자.

평절에 대해 반절로 답배를 하는 모습


절의 종류와 절하는 대상 

절의 종류에는 큰절, 평절, 반절이 있다. 남자의 절을 각각 계수배(稽首拜), 돈수배(頓首拜), 공수배(控首拜)라고 하며, 여자의 절은 숙배(肅拜), 평배(平拜), 반배(半拜)라고 한다. 큰절은 자신이 절을 했을 때 답배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 하는 절이다. 또한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도 큰절을 한다. 큰절을 하는 대상은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방계존속이다. 직계존속이란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고, 배우자의 직계존속은 아내의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다. 방계존속은 백숙부모, 종조부모 등 부모와 항렬이 같거나 높은 가까운 친척을 말한다.

평절은 자신이 절을 하면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 사이에 한다. 즉,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친구 사이에 하는 절이다. 친족이 아닌 경우 나이차가15년 이내라면 평절로 맞절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을 비롯한 어른을 뵈었을 때 평절을 하면 어른이 답절을 하며, 부부간에 결혼할 때, 세배할 때 형제간에는 서로 평절로 맞절을 한다.

반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대상은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구, 남녀 동생, 8촌 이내의 나이차 10년 이내 연장비속(방계비속, 조카 등 항렬이 낮은 친척), 친족이 아닌 16년 이상의 연하자 등이다. 평절을 받을 관계에서 아랫사람이 성년이 아니면 말로 인사를 대신하는수도 있으나, 성년이면 반드시 답배를 해야 된다. 예를 들어친구의 성년인 자녀가 찾아와절을 한다면 답배로 반배를 하는 것이 예절이다.


손을 맞잡는 공수법(拱手法)

  • 1
    남자의 평상시 공수는 왼손이 위이다.
  • 2
    남자의 흉사(凶事 : 사람이 죽어서 약 백일(졸곡)까지를 말한다.)시 공수는 오른손 이 위이다. 
  • 3
    여자의 평상시 공수는 오른손이 위다. 
  • 4
    여자의 흉사시 공수는 왼손이 위이다.
  • 5
    공수할 때 엄지손사락은 엇갈려 낀다(소매가 넓고 긴 예복의 소매끝을 눌러 흘러 내리지 않게 한다).
  • 6
    평상복을 입업을 때는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부위에 닿게 내린다.
  • 7
    소매가 넓은 예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손이 수평이 되게 올린다.
  • 8
    공수하고 앉을때는 남자는 중앙에 여자는 오른쪽 다리위에, 한무릎을 세울 때는 세운 무릎위에 공수한 손을 얹는다. 


남자 절의 기본동작

남자의 큰절 (계수배 稽首拜)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등), 배우자(처)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집안어른, 윗 세대의 근친과 의식행사에서 한다. 계수배의 계(稽)는 '더디다'의 뜻이므로 천천히 한다.

  •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포개 잡는 것)를 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 2
    공수(拱手)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 에 짚는다.
  •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깊이 내려 앉는다.
  •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차양(遮陽 챙)이 있는 갓이나 모자를 썼을 때는 차양이 손등에 닿게 한다. 이 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 릎을 먼저 세우고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난다.
  • 6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7
    공수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默禮)한다.


남자의 평절 (돈수배 頓首拜)

남자의 평절

절을 받는 상대가 답배를 해야 하는 어른(나이로 어른, 선생님, 상급자)이거나 서로 정중하게 맞절을 할 때 하는 절이다.

  • 1
    큰절과 같으나 손을 눈 높이로 올리지 않는다.
  • 2
    이마가 손 등에 닿으면 금방 일어나는 차이가 있다. 돈수배의 돈(頓)이 '꾸벅거리다'의 뜻으로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머물러 있지 말고 즉시 머리를 들고 일어난다.


남자의 반절 (공수배 控首拜)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 1
    큰절과 같으나 손을 눈 높이로 올리지 않는다.?
  • 2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고 무릎만 꿇는다. 이때 뒤꿈치를 벌리면서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 자세는 하지 않는다.
  • 3
    머리와 엉덩이까지 등이 수평이 되게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고두배(叩頭拜)

  • 1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을 "고두배"라고 한다.
  • 2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 3
    고두배는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며, 한 번 절할 때 이마로 세 번 바닥을 두드 린다. 현대에는 임금이 없으므로 하지 않는다.


"고두(叩頭)"가 무엇인가?

예전부터 중국의 황제(혹은 임금)에게 행했던, 머리를 땅에 닿게 하는 경례법이다. 무릎을 꿇고 양손을 땅에 나란히 댄 다음머리가 땅에 닿을 때까지 숙이는 것이다.
우리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절이 바로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였다. 즉 1637년 1월 인조 임금이 병자호란에서 패한 뒤 남한산성에서 나와 청나라 태종 앞에서 이마가 땅에 닿을 때까지 숙이기를 3번, 그것을 한 단위로 3번, 즉 9번이나 되풀이했던 항복의식이었다. 조선의 임금들은 명이나 청 황제가 보낸 칙서를 "고두"로 맞이해야 했다.
  
?홍대용의 시문집인 <담헌서>를 보면 외국사절이 청나라를 방문하면 홍로시라는 곳에서 반드시 황제 앞에서 잘못된 의식을 행하지 않도록 철저한 ‘삼배구고두’ 연습을 시킨 일이 기록돼있다. “사절단 일행은 홍로시에서 의식연습을 했다. 외국서 온 공사들이 의식에 익지 못하므로 미리 연습을 시켜 실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의 예를 한 다음, 비로소 앞으로 가서 절하고 뒤로 물러나와 엎드리는 것을 행했다.
  
그런데 모두 헷갈려 법도에 맞지 않으므로 통관들이 인도해 가며 익혔다.”(<담헌서> ‘외집 9권·연기’) 조선을 방문한 중국사신들도 극진한 선물을 받고 조선을 떠날 때는 “제가 고두를 드릴 테니 임금의 자리에서 받으시라”고 권하기 일쑤였다. “1480년(성종 11년) 임금이 명나라 사신을 위해 잔치를 벌이는데 두 사신이 어좌를 남쪽으로 향하게 했다. 임금이 못이기는 척 어좌를 남쪽으로 돌려 두 사신에게 술잔을 돌린 뒤 선물을 주니 두 사신이 앞으로 나와 고두(叩頭)하면서 감사의 뜻을 표했다.”<성종실록>
  
‘고두’는 결국 황제나 임금 앞에서나 행하는 의식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성균관이나 한국전례원 측의 설명은 ‘큰 절’의 가장 핵심은 두 손을 포개 모으고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공손히 올려 모은 뒤 바닥을 짚고 가지런히 무릎을 꿇으면서 큰절을 올려야 한다. 물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둬야 한다. 상가(喪家)에서는 반대가 된다. 조문을 할 때는 남자는 오른손을, 여자는 왼손을 위로 올려 두 손을 모은 뒤 2번 절을 올린다. 그렇지만 많은 이들이 예법을 잘 몰라 두 손을 평행으로 나란히 편채 큰 절을 올린다. 이것이 바로 황제나 임금에게 올리는 ‘고두’라고 하는 것이다.

남자의 절하는방법 동영상
http://blog.naver.com/pineykim/220270499638


여자 큰절의 기본동작

여자의 큰절 (숙배 肅拜)?

혼례식 때의 교배(交拜), 폐백 올릴 때, 회갑 때의 헌수(獻壽, 상수 上壽, 칭상 稱觴), 제사 때의 절, 장례 때 영전에 하는 등 의식행사와 상대가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직계존속, 웃세대의 어른)께 한다.

  • 1
    공수한 손(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을 들어 어깨 높이와 수평이 되게 올린다.
  • 2
    고개를 숙여 손등에 이마를 붙이고 시선은 손등을 본다.
  • 3
    왼 발을 뒤로 빼며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발 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서 깊이 앉는다.
  • 4
    윗몸을 45도 정도 앞으로 굽힌다. (이때 이마가 손등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며, 엉 덩이가 들리지 않아야 한다.)
  • 5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이유는 머리 장식 때문이다.)
  • 6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면서 왼 발을 오른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7
    올렸던 두 손을 배꼽 부분까지 내려서 공수한 다음 가볍게 묵례(默禮)한다.


여자의 평절 (평배 平拜)

 나이가 위인 어른이나 정중하게 맞절을 해야 하는 상대에게 하는 절이다. 큰절을 해야 하는 직계존속이나 윗대의 어른이라도 절을 받을 어른이 '평절로 하라'고 허락하면 평절로 한다.

  • 1
    공수(拱手)한 손을 풀어 자연스럽게 내린다.
  • 2
    왼 발을 뒤로 빼며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 3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서 깊이 앉는다.
  • 4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으고 손끝이 밖을 향하게 무릎 선과 나란하게 바닥에 댄다.
  • 5
    윗몸을 45도 정도 앞으로 숙인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어깨가 치 솟아 목이 묻히지 않도록 팔굽을 약간 굽혀도 좋다)
  • 6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손을 바닥에서 뗀다.
  • 7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면서 왼 발을 오른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8
    양손을 배꼽 부분에서 공수한 다음 가볍게 묵례한다.


여자의 반절 (반배 反拜)

평절을 약식으로 하는 절이다. 답배의 대상이 나이 차가 많으면 남녀 모두 앉은 채로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바닥을 짚는 것으로 답배한다.
여자의 절하는법 동영상 : http://blog.naver.com/pineykim/220270499638


절의 횟수와 하는법

  • 1
    남자는 양(陽)이기 때문에 최소 양수인 1회가 기본회수이다.
  • 2
    여자는 음(陰)이기 때문에 최소 음수인 2회가 기본회수이다.
  • 3
    평상시 어른에게는 남자는 1배, 여자는 재배가 원칙이나 절의 종류와 회수는 절을 받으실 어른의 명에 따르는 것이다.
  • 4
    각종 의식행사에서는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한다.
  • 5
    근친이 아닌 남의 절에 대해서는 절하는 사람이 20세 이상이면 답배, 또는 맞절을 해야 한다. 


세배의 의미

민속명절 설날에 웃어른에게 절하며 새해인사로 덕담(德談)을 나누는 것을 세배라 한다. 세배는 평소의 조석문안과 다른 하나의 의식이다. 


가족끼리의 세배방법 

  • 1
    예를 들어 자녀를 둔 부부가 부모를 모시고 사는 가정이라면 설빔을 차려 입고 선다.
  • 2
    남자는 동쪽, 여자는 서쪽에 위치한다.
  • 3
    먼저 부모와 부부 내외끼리 정중한 맞절로 세배한다.
  • 4
    부모가 부동모서의 위치에서 남쪽을 향해 앉으면 부부와 자녀들이 북쪽을 향해 큰 절을 하고 새해인사를 여쭙는다.
  • 5
    남편은 아버지의 왼쪽앞, 아내는 어머니의 오른쪽앞에 남쪽을 향해 앉으면 아들과 딸이 큰절을 하고 새해 인사를 여쭙는다.
  • 6
    아들과 딸이 누이나 오라비에게 평절을 한다.


절의 의미 

절은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에게 공경하는 뜻을 나타내는 정중한 인사예절이다. 


큰절

일방적으로 공경을 드려야 하는 대상에 대해서 하는 절. 절을 받는 사람이 답배를 하여야 한다. 폐백이나 조부모와 부모의 회갑 때 드린다. 


큰절하는 때

  • 1
    혼례식(결혼식), 폐백드릴 때 
  • 2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의 환갑,수연 때
  • 3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께 세배 드릴 때
  • 4
    아침,저녁 문안, 또는 생신 때 
  • 5
    부모님이나 웃 어른을 오랜만에 뵈올 때 
  • 6
    제사나 성묘 때 
  • 7
    문상 때 조객과 상주와의 인사 때


평절

서로 공경해 맞절을 하는 경우 

  • 1
    절을 받을 사람이 평절을 하라고 명할 때도 있다.
  • 2
    같은 또래의 사람끼리, 또는 윗사람에게 문안이나 세배를 할 때 


반절

평절을 받는 사람이 절하는 사람을 존중해서 답배하는 절. 가까운 친족이 아닌 성년자의 절에는 반절로 답배한다. 

  • 1
    단배 : 한 번 하는 절: 부모나 부모의 친구 등 어른에게 평상시 보통 하는 절 
  • 2
    재배 : 두 번 하는 절: 보통 죽은 사람의 영전, 차례나 제사 지낼 때 하는 절 
  • 3
    사배 : 네 번 하는 절: 신부가 시집갈 때 시부모에게 한다. 옛날에 왕에게 한 절이기도 하다.


절하는 법 

  • 1
    손은 공손하게 맞잡아야(공수) 하며 손끝이 상대를 향하게 하지 않는다. 
  • 2
    누워있는 어른에게는 절대 절하지 않는다. 
  • 3
    절을 받을 어른이 '절하지 말라'고 하면 안해도 된다. 
  • 4
    찾아오신 웃어른에게 방안에서 인사를 할 때에는 어른이 자리에 앉은 후 평절을 한다. 
  • 5
    어른에게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명령조이기 때문이다. "인사드리겠습니다"라고 한다. 
  • 6
    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답배하기도 한다. 이는 비록 아랫사람이라도 그를 존 중하는 대접의 표시로 하는 것이다. 
  • 7
    제자나 친구의 자녀, 자녀의 친구, 연하자라도 상대가 성년이면 반드시 답배해야 한다.


공수법(손가짐) 

  • 1
    공수(拱手)란 어른 앞에서나 의식 행사에 참석했을 때 공손하게 손을 맞잡는 태도 이다. 
  • 2
    공수의 기본 동작은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편 다음, 앞으로 모아 포갠다. 
  • 3
    엄지손가락은 엇갈려 깍지끼고 식지 이하 네 손가락은 포갠다. 
  • 4
    평상시에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하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공수한다. 
  • 5
    흉사시의 공수는 남녀 모두 평상시와 반대로 한다. 


남자가 큰절하는 법 

  • 1
    절하는 예절은 공수에서 시작된다. 
  • 2
    공수한 자세로 절할 대상을 향해 선다.
  • 3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 4
    엎드리며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 5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 6
    남녀 모두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 7
    왼발이 아래로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 8
    남자는 왼발을 아래로 오른발을 위로 하여 발등을 포개고 앉는다.
  • 9
    발뒤꿈치에 닿을 만큼 엉덩이를 내려 깊이 낮는다. 
  • 10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머리를 숙인다. 
  • 11
    숙이고 잠시(1-2초) 머물렀다가 일어선다. 
  • 12
    고개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 13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 14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 무릎 위에 놓는다.
  • 15
    오른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 양발을 가지런히 모은다. 
  • 16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 


여자가 큰절하는 법 

  • 1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올린다.
  •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댄다. 
  • 3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어앉는다. 
  • 4
    여자도 무릎을 세우지 않으며, 오른발을 아래로 왼발을 위로 하여 등을 포개고 뒤 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 5
    상체를 앞으로 60도쯤 굽힌다. 
  • 6
    상체를 일으킨다. 
  • 7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 8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 9
    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내린다.
  • 10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